ARTISTS

김일권 Eel Kwon KIM

Biography

김 일 권 Eel Kwon KIM b. 1962

Eel Kwon Kim : "a painter's painter" 
Clinton Kuopus (클린턴 쿠어퍼스) 교수 - 전 뉴욕 파슨스 디자인 대학 미술관 관장

김일권은 풍경..... 대기 그리고 대지에 관한 추상적인 문제에 관하여 다소 고전적인 관념에 기초를 두면서, 대단히 절제된 공간적 틀 안에서 작업활동을 하고 있다. 문외한의 눈으로 보기에 이런 작품은 진부하며, 믿기 어려울 정도로 미니멀 아트적이거나 단순하게 보이며, 또 지루하다고 여겨질 것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고 나는 확실히 말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은 세련되며, 그 표현이 뛰어나며, 하나의 이미지에서 다른 이미지로 오고 가면서, 각각의 미묘한 차이를 경험토록 해주고, 각 작품이 어떻게 아주 다른 감정과 시각적인 감수성을 내뿜는지를 느끼게 해준다. 그의 작품은 눈을 즐겁게 해주는 성찬이다. 여러분이 준비만 되어 있다면, 여러분은 매번 상이한 방식으로 풍경 속으로 빨려 들어갈 것이다김일권은 모두 같은 크기와 같은 포맷으로 이런 작품을 수 백편 그려 왔다. 이것 자체가 매우 힘든 일인데, 그런데도 각각의 이미지는 신선하며, 각기 다른 모습을 띄고 있다.  그는 다른 날에, 다른 계절에, 그리고 하루 중의 다른 시각에 이런 작업을 했다. 우리는 날이 바뀌면 얼마간은 다른 사람이 된다. 세계와 우리의 환경도 매일 다른 것이다.  김일권은 인간적인 경험의 이런 측면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한국과 화가로서의 자신의 삶과 동료 인간들을 묘사함에 있어서, 그는 시각적인 대화를 통해 자신의 정신과 영혼을 감상자와 공유하고자 한다. 한국 역사의 정수와 문화적 뿌리는 자연, 생명, 단순한 우아함, 감수성, 인간적 정감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런 한국 문화의 원초적인 요소가 김일권의 작품 속에 세밀히 표현되어 있다. 그의 작품은 민감한 감수성을 보이며, 뛰어난 표현력을 나타내며, 감상자와 영적인 교감을 나눈다. “화가 중의 화가라는 용어는 종종 선구성미묘한 채색과 착색, 자신의 기예를 통해 진정으로 교감을 나누는 내재적인 수단에 통달한 자에게 쓰여지는 용어이다.

김일권은 이런 작가의 한 사람이다. 그의 작품의 기초채색, 바탕채색, 덧칠, 붓놀림과 착색은 홀연히 우리를 초대하고, 잡아끌며, 매혹시킨다. 그의 작품 속에서 대기, 혹은 하늘이 지구, 혹은 땅과 만나는 방식은 대지의 풍경이 지닌 두 측면을 경계선에 의해 경이롭게 절제하여 결합하고 있다. 나는 로드코의 작품과 그의 절제된 포맷을 생각하며, 그가 정말 정곡을 찔렀을 때 그의 작품이 얼마나 힘차게 다가왔는가를 생각하게 되었다. 김일권의 작품은 이같은 의도를 갖고 있으며, 상당히 다르면서도 미묘한 방식으로, 그리고 자기 스스로 부과한 훨씬 더 절제된 포맷으로 이를 성취하고 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용기와 감수성, 완고함과 끈기를 요구된다. 이런 경탄스러운 자질은 그의 창조적 정신의 기저이고, 이 예술가를 묘사할 수 있는 말이기도 하다.


Eel Kwon Kim "a painter's painter"    Clinton Kuopus /  Director of Exhibitions Parsons School of Design

Eel Kwon Kim works in a very limited spatial framework based on more or less classical ideas about abstract issues regarding landscape.....atmosphere and ground. To an uninitiated eye they might actually seem to be banal and incredibly reductive or simplistic.....they might be considered to be boring......but I assure you, they are anything but that. They are sophisticated, wonderfully painted, and a visual feast for the viewer to move back and forth from Image to image experiencing the subtle differences from one to another and how they exude very different qualities of emotion and visual sensitivity. If you are willing to let them, they suck you into the visual landscape in front of you in a different way each time.

Eel Kwon Kim has painted over a hundred works, all the same size and with the same format. This is something that is very hard to do and still keep the images fresh and different from one to the other. He paints them on different days, in different seasons of the year, at different times of the day. We are all different people to some degree on different days. The world and our environments are different each day as well.

Eel Kwon Kim plays on this aspect of human experience and shares his spirit and soul with the viewer in describing Korea and his existence as an artist and fellow human being in his visual dialogues with us. The core of Korea's history and cultural roots are based on respect for nature, life, simple elegance, sensitivity and human emotion. These prime elements of Korean Culture are amplified by Eel Kwon Kim's work. They are sensitive, extremely well painted and communicate with the viewer on a very spiritual level. The term "a painter's painter" is often described as one who is a master of "edge", color manipulation, application and the inherent means of really communicating through his or her craft.

Eel Kwon Kim is one such individual. His layering, underpainting, overpainting, brushstrokes and application are all at once, inviting, succulent and alluring. The way that his atmosphere or sky meets earth or ground is a wonderfully controlled marriage of both aspects of landscape through "edge". I was reminded of Rothko and his working in a limited format and how powerful his work became when he was really on point. Eel Kwon Kim's work shares in this intent and succeeds in a much different and subtle way......and with a much more limited self imposed format. This takes tremendous courage, sensitivity, stubbornness and tenacity to pull off and are as admirable in describing the artist as they are the backbone of his creative spirit.


---------------------------------------------

 The New Landscape (새로운 풍경), 감동과 치유, 그리고 평화로움. 고요한 심상의 풍경을 그려내다

캔버스 속에 그어진 고요한 수평선의 깊은 울림이 새로운 ‘풍경’이 되어 마음속으로 다가온다. 김일권 작가는 한국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자신이 바라본 자연의 순간을 작가만의 심상을 통해 ‘그 날’의 감정과 생각을 담아 풍경의 구상을 추상으로 전환시킨다. 캔버스의 평면을 가로지른 수평선을 경계로 하늘과 들, 혹은 하늘과 바다 등이 뚜렷하게 나뉘는 풍경을 강렬한 색의 대비로 표현하거나 혹은 어슴푸레하고 환영적으로 표현하여 추상화한다. 그의 캔버스에는 사계절이 담겨있고 새벽과 정오, 한낮의 푸름, 붉은 노을, 깊은 한밤중의 자연이 담겨있다. 어둠과 빛이 지나가고, 장엄한 정적, 깨어남, 순간에서 순간으로의 전환이 있다. 

김일권 작가가 한 점의 작품을 완성하기까지는 적어도 한 달에서 때로는 몇 년이 걸리기도 한다. 작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겹겹이 쌓아올린 색의 층이 그 이유가 된다. 단순하게 면이 분할된 것이 아니라 칠을 올리고 나서 작가 스스로 만족할 때까지 여러 색깔을 덧 올려 깊이를 만들어낸다. 예를 들면 오묘한 빨간색 너울거리는 속에 노란빛이 섞여있고, 그 빛의 바탕에는 검정이 자리하면서도 보랏빛이 돈다. 덧 올린 층 사이로 마티에르가 불규칙하게 보이기도하고 반짝이는 펄이 보일 때도 있다. 작가가 덧 올린 세월이 작품 속에 고스란히 나타난다.

날짜 제목, 그리고 평안을 불러일으키고자 의도하는 ‘연상 풍경

신기하게도 김일권의 작품들엔 날짜가 제목이 되어 따라 붙는다. 김일권의 풍경화는 시간성을 초월하고 환영과 같은 느낌을 주지만, 작가에게 그 특정한 날짜는 그 풍경이 숭고해지도록 맞춰진 가상의 시간에 대한 기록이다. 작가의 마음으로 바라본 그 날의 풍경과 느낌, 공기, 감정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된다. 실제 풍경의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보는 이에게 마음의 감동을 주고 평안을 불러일으키고자 의도하는 ‘연상 풍경’이다. 캔버스의 평면을 가로지르며 아스라이 표현된 수평선은 각 작품들마다 시시각각으로 변하며 관람객이 작품 안에서 희망을 꿈꿀 수 있는 장소, 현실에 대한 대안적인 공간으로 영혼이 평화로운 자연 안에서 휴식할 수 있게 의도하고 있다.

서양에서 인정받은 동양적 풍경추상

특히 김일권의 작품은 뉴욕 활동시절 미국 미술평단에서 동양적 심상을 담아 따뜻하고 긍정적인 아우라가 있는 풍경추상으로 좋은 반응을 얻었다. PRATT institute (프랫 인스티튜트)의 겸임교수이자 American art critic (아메리칸 아트 크리틱)의 로버트 C.모건은 “마치 마크 로스코의 추상이 생각나게 하지만 마크 로스코의 추상과 달리 더 미묘하며 어떤 점에서는 보다 힘차고 자발적이며 긴장감을 가지고 있는 ‘김일권’의 작품은 동양 풍경화의 전통인 간명한 고요함, 모호함이 없는 의미, 담대한 이해력과 사유의 감정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인간적 정서의 우주를 발견할 수도 있고,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 때 우리의 감정을 지배하는 은하수의 분위기를 발견할 수도 있다.” 라고 말한다. 

- 갤러리소헌 개인전 보도자료 중에서 발췌. 

---------------------------------------------

Kim has formally explored a thematic with a razor-sharp singularity yet evinces a high level of artistic accomplishment. His early works were anything but indistinguishable. Artistically incorporating vestiges of Mark Rothko's prescient Color-Field to Robert Ryman's monochromes, Kim's early paintings consisted of rectangular canvases awash in two dominate colors which meet at a demarcated line that horizontally bisects the canvas; or by an area in which the two dominate hues bleed into each other. More recently, Kim expanded on this where the purity of his color fields was contaminated with offset colors thus giving his nebulous pictorial zones depth by way of chromatic palpability. As much as these canvases can be read as embodiments of pure abstraction, the delineated line or passage between large areas of color cannot resist being perceived as a horizon. What one could conclude, then, is what Kim renders is a kind of dialectical painting that formally and conceptually oscillates dichotomies of pure abstraction and representation, figure and ground, presence and absence, and being and nothingness. As if these thematic points of departure were not revelatory of the complex artistic imaginary, the early works were also given titles referring to the day they were painted including June 20, 2003 and October 30, 2003, for example. The titles serve more than demarcations of time, however, for they not only encapsulate the arc of their creation but are also metaphorically embedded, to a lesser of greater degree, with the interiority of their author on the day of their manufacture. 

_extracted from “Eel Kwon Kim: From the Line to the Infinite” By Raul Zamudio 


Here I refer specifically to the paintings of the Korean artist Eel Kwon Kim.

To see these paintings, and to encapsulate their significance, is to go beyond the normative perception of how a landscape is seen or understand. Kims landscapes have a direct reference to abstract painting. operate as a hinge between the two -- representation and abstraction -- as a fulcrum, a balance beam, a way of seeing into the future. series, entitled  Calm :Land,  constitutes a kind of prophetic seismograph, a warning without deliberate calculation, a way of thinking and feeling in relation to the self.

understands that viewing the landscape is an intrinsic metaphysical action, a way of coming to terms with the reality of nature, with the infinity of the horizon line, with the calmness of the self, the solitude, the infinite grandeur of spiritual being in a world torn apart by fear and greed.

Kim’s paintings constitute a kind of seeing that envisions the future in relation to the past -- that sees the Eastern traditions of landscape painting as having a succinct calmness, a meaning without equivocation, a feeling of intrepid comprehension and contemplation. Here one may discover a universe of human emotion and an atmosphere of galaxies that reign over our feeling as we move through time and space. (omit) 

But there is no prediction in the direction these landscapes will take. In Calm Land (01.05.03) the sensation of ocean waves breaks through the night. The viewer is arbitrarily standing at the seaside watching this extravagant, though sublime phenomenon in nature. horizon is disturbed. The brushstroke in its simple, recondite, and calligraphic manner interrupts the typical stillness.

We are poised in front of the sea -- yet still, not as a pure representation, but as a hint of something universal in nature. The effect is ultimately one of pulling together the representational and abstract elements in painting -- both belonging to nature -- in tune with one another. Eel Kwon Kim is tuning the perceivers eye to the sensation of the thing perceived, the role of nature as an objective variant, a crustacean form, a primeval event that takes us homeward into the self, into the vacant regions of the soul, where the transformation from dark to light emerges and we become whole again.

_extracted from “Eel kwon Kim: The New Landscape”, essay by Robert C. Morgan*  

*Robert C. Morgan is a writer, international art critic, curator, poet, lecturer, and artist.


The sublime is that quality in art Robert Rosenblum associated with shapelessness awesomeness and the mysterious aspects of a Romantic landscape, Kim's landscapes are every bit mysterious, suggestive, and even ecstatic in their sublime suggestion of possibilities. His softly nuanced paintings are economical in their means yet speak volumes in their complexity. This layering and its super-inscription or super-imposition is referred to as the palimpsest effect. As signs if a linguistic model, Kim's landscapes are embedded with multi-layered symbolism that functions in terms of repetition and, their signifieds become inconstant shifting and exchanging places with their signifiers. Through repetition Kim's painting as sign constantly recreates its referent thereby multiplying its meaning. His works can be read as metaphorical abstract landscapes with a tripartite division of foreground, horizon/middle ground, and background. Or, they can be seen as studies into sensation and color wherein the media assume primacy. An alternative reading would assert a spiritual element in Kim's landscapes due to their devotional, evocative qualities. Kim's work should not simply be associated with abstract expressionism or minimalism as critics have done in the past, but it should also be seen in light of its metaphorical and symbolic meaning, the most compelling aspect of Kim's painting is that this complex tapestry of veiled metaphoric significance and visual acuity captivate and resonate with his viewer.

_extracted from: “The Palimpsest and sublime in Eel Kwon Kim's Landscapes”  _Thalia Vrachopoulos



Artist CV

김 일 권 Eel Kwon KIM  

b. 1962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예술공학박사 Ph.D 미디어아트
New York Academy of Art 대학원 M.F.A 학위 취득
New York Art Student 미술학교
 
뉴욕시립대학교 연구교수 역임
. 전남대 교수
 
Solo Exhibition
2024 갤러리소헌 &소헌컨템포러리 
2018,2022 GALLERY WE 서울
2016 대구 수성아트피아 문화재단
2015, Sylviawald & pokim galllery 미술재단 New York
2013, 2005 , ANDRE ZARRE GALLERY, Chelsea New York
2007 POSCO 미술관(서울)
2005 MEDIAPIA GALLERY Baltimore .MD
2004 뉴욕시립대학교 존 제이 갤러리 미국 (뉴욕 한국문화원 공식 후원전)
Thalia Vrachopolus 교수 큐레이터. 기획
2003,2000,1995,1994 예맥화랑 기획 (서울)
2002 나인갤러리 기획 (광주)
2001 신세계 갤러리 기획 (광주)
2000 예맥화랑 기획 (서울)
1996 Galerie D'Art GNG 기획, 파리 쌩 제르맹 데프레(프랑스)
1993 캠브리지 갤러리, 뉴코어 갤러리 기획
1992 뉴욕 맨하탄 소호 BROOME STREET GALLERY
 

Group Exhibition

2015 -2011 " Unwrapped , Japan-Korea Art "
뉴욕 크리스티 경매전, New York, Rockefeller Plaza

2022 삼인행 - 내면의 풍경, 갤러리소헌, 대구
2022 색면대화 2022, 갤러리소헌, 대구
2021 " 달빛연가 한지워크와 현대미술 "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완주
2020 " 향기 " 동덕아트갤러리
2020 "GMAF 광주 미미디어아트 페스티벌" 관선재 갤러리
2019 "풍경에서 명상으로 " 뮤지엄 산 원주오크벨리
2019 'CHANGE: 달리 보기' 인사아트센터 가나아트 프린트베이커리기획
2019 "-인디아 현대미술교류전 " 주한 인도 문화원
2019 "MABUNI PEACE PROJECT OKINAWA 2019 " 오키나와 평화전시관
2018 " 영원회귀 "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복합1관 창조원 광주
2018 - 2009, KIAF 한국 국제 화랑 미술제 미 화랑 선화랑 서울
2018 " TOTAL SUPPORT " 토탈미술관
2018    화양연화 조선대미술관
2017 " 오 독불장군전" 우종미술관
2017 " SANGAI FESTIVAL ART CAMP " MANIPUR INDIA
2016 BOUNDARY, 갤러리 D'ART, 뉴욕 첼시
2016 " TOTAL SUPPORT " 토탈미술관
2016 " 단색화 채움과 비움의미 " 우종미술관
2015 SCOOP 스콥프 아트페어, 뉴욕 텐리 갤러리
2015 JAIPUR ART SUMMIT 자이푸르 아트 정상회의 JAIPUR INDIA.
2015 " Revitalizing The Hanji Tradition " Tenri Gallery. NYC
2014 " 전북아트전 전주 소리의 전당 선화랑 서울
2013 “ Black and White and Gray ” Gallery ROC NewYork
2013 " Element ” COOHAUS gallery, Chelsea,NewYork
2013 " KCC invitational ” barnett gallery, ENGLWOOD, New Jersey
2012 " THREE ARTISTS " 미 화랑 서울
2012 " Reunion " Wilkinson Gallery New York N.Y..
2012' 한국화랑 미술제 " SEOUL COEX 미화랑 MEE GALLERY
2011 " The conceptual visions" Elgawimmer Pcc gallery, Chelsea,NewYork
2011 - 2009 KIAF, 한국국제화랑미술제 COEX SEOUL MEE GALLERY ,1200+KYOTO MUSEUM
2011 " THREE ARTISTS " MEE GALLERY , SEOUL
2011 " Chasing Dreams 56 " Gallery Maum, New York
2010 "광주 국제아트페어 ",GWANGJU BIENALE COMMITTE, KIM DAE JUNG CENTER
2010 " 청담미술제 " LANSMERE, SEOUL
2010 " 서울 DMC MEDIA ART FESTIVAL " 상암 DMC MEDIA CETER IN SEOUL
2010 " ART & SCIENCE " 김대중 컨벤션 센타
2010 " DIGIFESTA ",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Bienale Museum
2010 " INTERFACE SURFACE ",INSA ART CENTER
2010 " MEDIA LOVE " TOPOHAUS GALLERY (GRANTED BY SEOUL ART FOUNDATION)
2010 " CONMEMORATION 30 YEARS SUN GALLERY ", SUN GALLERY SEOUL
2009 " 한국현대 미술제 박영덕화랑 ", 서울 예술의 전당 ,SEOUL ARTS CENTER
2009 " HARF N ONE ",관훈미술관 SEOUL
2008 "국민일보 한국현대미술 초대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07 "작은미술관" 서울국립현대미술관, 여수공항
2007 "공주국제미술제" 임립 미술관
2006 " Destiny " Space world, long Island, New York
2006 " Artexpo New York " ( Art Bank N.J ) Jacob Javit Center N.Y.C.
2005 " Artville " 2X13 Gallery chelsea New York
2005 " Artexpo Atlanta" ( Art Bank N.J ) Georgia World Congress Center
2005 " 풍경 조망 속을 걷다" 서울 국립 현대 미술관
2005 " OPEN STUDIOS" crane street studio Long Island New York
2005 " 찾아가는 미술관 " 서울 국립 현대미술관
2004 " 바라보기자아 " 광주시립미술관 분관
2004 " 찾아가는 미술관 " 서울 국립 현대미술관
2003 " 정열 " 뉴욕 한국문화원 갤러리 코리아 미국
2003 " 진경 - 그 새로운 제안 " 서울 국립 현대미술관
2003 " 찾아가는 미술관 " 서울 국립 현대미술관
2003 " 2002 New Acquisition " 서울 국립 현대미술관
2002 " 영남 호남 그리고 충청 " 대전 시립 미술관
2002 " Convergence " Academy Galley New York.
2002 " 깊은 산중에서 소를 잃다 " 광주 시립 미술관
2002 " 7인 초대전 " 뉴욕 첼시 Papp갤러리 (미국)
2001 " 신도리코 기획 초대대전 " 신도리코 화랑 (서울)
2001 " 21c 한국 현대미술지상도 " 세종 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00 " .한청년작가 미술교류전 " 한국대사관 동경 한국문화원(일본)
2000 " New millenium " 덕원 갤러리 서울
1999 " Riverwalk Arts Festival " City of York (미국, 펜실바니아)
1998 ~ 1999 " Korea Computer Graphics " 서울 이화여대 미술관
1998 ~ 1999 " Korea computer art Asosociation " 한국 디자인 진흥원
1997 " International sellection " GNG Gallery paris
1996 " 젊은 모색전 " 서울국립 현대미술관
1995 " 오지호 미술상 초대전 " 광주시립 미술관
1995 " 95 한국현대 미술전 " 중국북경 국립미술관
1995 " 러시아 극동문제연구소 한국작가 초대전 " 모스크바 예술가 하우스갤러리
1995 " 3인전 " 소호 뉴욕 뉴욕 갤러리, 맨하탄 (미국)
1993 " 한국미술 해외소개 우수전시작가 선정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93 " .중 회화 교류전 " 연변대 미술관(중국)
1993 " 뉴욕 현대작가 초대전 " 길라버트 갤러리, 뉴욕 맨하탄(미국)
1992 " After opening the curtain " 앨트라 갤러리 뉴욕시(미국)
1992 " Multicultural Program " 뉴욕시 퀸즈 시립미술관 (미국)Queens
1992 " Soho Now 92 " Monteserrat Gallery (soho) Now York.
1992 " 한미 6인 작가 초대전 CROSSCURRENTS " 뉴욕 한국 문화원, 갤러리 코리아, 뉴욕 맨하탄 (미국) ,
 

Collections
삼성 차범근 감독, 서울 국립 현대미술관, 수원 아이파크 미술관, 주 뉴욕총영사관 주 뉴욕 한국문화원, 미국 Basf Urethan Co ,
HYUNDAI MOTORS INDIA, 서울 예술의 전당, 광주시립 미술관, 손양원목사 순교기념관 여수
신세계, 캠브리지, NEW YORK ACADEMY OF ART, 뉴욕 롱 아일랜드 대학교 ,광주지방법원, 순천임옥미술관


Education 
2005 -2014  So Gang University , The Graduate School of art & technology
           Ph.D.              (  Major in media art  ) Seoul Korea
1990–1992  New York Academy of Art Graduate School M.F.A ( painting, sculpture )
1989-1990 Studied at New York Art Student league ( painting )
2012- 2013, 2005-2006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 JohnJay , research professor
  
Solo Exhibition 
2018, 2022 GALLERY WE , Seoul,
2016 SUSEONG ARTPIA, SUSEONG Foundation for culture, Daegu
2015, Sylviawald & Pokim galllery ART FOUNDATION , New York
2013, 2005 , ANDRE ZARRE GALLERY, Chelsea New York
2007, POSCO ART MUSEUM, SEOUL
2005, MEDIAPIA GALLERY Baltimore. MD
2004, John Jay Gallery, The City University NewYork
          Sponsored by Korean Cultural Service in NewYork 
          Curated by Thalia Vrachopolus
2003,2000,1996,1995, YeMack gallery Seoul Korea.
2002, Nine gallery KwangJu Korea.
2001, Sinsegye gallery KwangJu Korea.
1996 Galerie D'Art GNG Paris France.
1993 Cambridge gallery Kwang Ju, Korea
1991 Broome Street Gallery (Soho) NewYork N.Y.C

Group Exhibition
2015 -2011 " Unwrapped ,  Japan-Korea Art ", Chriesties Aution , New York, Rockefeller Plaza
2019  landscape  to  meditation    Museum  San  WonJu Oak valley  Korea 
2021 "Moonlight Sonata Hanji Walk and Contemporary Art". Jeonju, Jeollabuk-do Museum of Art.
 2020 "Scent". Dongduk Art Gallery.
 2020 "GMAF Gwangju Mimedia Art Festival". Gwansunjae Gallery.
2019 Landscape  to  meditation    Museum  San  WonJu Oak valley  Korea 
 2019 "CHANGE: DALIVERY" Insa Art Center GaNa Art Print Bakery Plan.
2019 Korea-India Contemporary Art Exhibition. Indian Cultural Center in Korea.
2019 "MABUNI PEACE PROJECT OKINAWA 2019" Okinawa Peace Exhibition Hall.
2018 "Return to eternity" National Asian Cultural Center, Complex 1 Creative Center Gwangju.
2018 - 2009 KIAF Korea International Gallery Art Festival, Seoul with MEE GALLERY CHUNGDAM
2018 "TOTAL SUPPORT" Total Museum of Art.
2017 "Odokbuljanggunjeon". Woojong Museum of Art. 
2017 " SANGAI FESTIVAL ART CAMP " MANIPUR INDIA
2016 BOUNDARY, Gallery D'ART, Chelsea, New York.
2016 "TOTAL SUPPORT" Total Museum of Art.
2016 "Filling and emptying monochromatic paintings". Woojong Museum of Art. 
2015 SCOOP Scope Art Fair, New York Tenri Gallery.
2015  " Revitalizing The Hanji Tradition " Tenri Gallery. NYC
​2014 " CHUNBUK ART SHOW ” CHUNJU SOUND ARTS CENTER 
2013 “ Black and White and Gray ”  Gallery ROC  NewYork 
2013 " Element ”  COOHAUS gallery, Chelsea,NewYork
2013 " KCC invitational ”  barnett gallery,   ENGLWOOD , New Jersey
2012 " Reunion " Wilkinson Gallery New York  N.Y..
2012 ' KOREA GALLERY ART FAIR " SEOUL COEX MEE GALLERY
2011 " The conceptual visions" Elgawimmer Pcc gallery, Chelsea,NewYork
2011 - 2009 KIAF,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COEX SEOUL ,MEE GALLERY ,1200+KYOTO MUSEUM 
2011 " THREE ARTISTS  " MEE GALLERY , SEOUL
2011 " Chasing Dreams 56 " Gallery Maum, New York
2010 "ART GWANGJU, INTERNATIONAL FAIR ",GWANGJU BIENALE COMMITTE,  KIM DAE JUNG CENTER
2010 " CHUNG DAM ART FESTIVAL " LANSMERE, SEOUL
2010 " SEOUL DMC MEDIA ART FESTIVAL " SANG AM DMC MEDIA CETER IN SEOUL
2010 " ART & SCIENCE " KIMDAEJUNG COVENTION CENTER
2010 " DIGIFESTA GwangJu MuseumofArt ", GwangJuBienaleMuseum
2010 " INTERFACE SURFACE ",INSA ART CENTER
2010 " MEDIA LOVE " TOPOHAUS GALLERY (GRANTED BY SEOUL ART FOUNDATION)
2010 " CONMEMORATION 30 YEARS SUN GALLERY ", SUN GALLERY SEOUL
2009 " Korean Contemporary Art by PARK YONG DUK GALLERY ", SEOUL ARTS CENTER
2009 " HARF N ONE ", GWANHUN GALLERY SEOUL
2008 " Korean Contemporary Art by The Kook Min Dairy Press ", Sejong arts Seoul
2007 " Small Art Museum " Seoul National Contemporary Museum of Art,Yeo Su Air Port
2007 " Gongju Art Festival " Emlip Art Museum
2006 " Destiny " Space world, longIsland, NewYork
2006 " Art expo NewYork" (ArtBankN.J) Jacob Javit Center N.Y.C.
2005 " Artville " 2X13 Gallery chelsea New York
2005 " Art expo Atlanta " (ArtBank N.J) Georgia World Congress Center
2005 " Real view of land scape " Seoul National Contemporary Museum of Art 
2005 " OPEN STUDIOS " Crane Street Studio Long Island New York
2005 " The Treveling Museum " Seoul National Contemporary Museum of Art
​2004 " Looking myself " KwangJu city museum of Art, Branch gallery.
2004 " The Treveling Museum " Seoul National Contemporary Museum of Art
2003 "Align " Galley Korea, NewYork.
2003 " Real scape revisiseted " Seoul National Contemporary Museum of Art
2003 " The Treveling Museum " Seoul National Contemporary Museum of Art
2003 " 2002 New Acquisition " Seoul National Contemporary Museum of Art
2003 " Young Nam, Honam & Chungchung province " Dae jun City Museum of Art
2002 " Losen cow in a deep mt." < KwangJu biennale > KwangJu Art Museum.
2002 " Convergence " Academy Galley NewYork.
2001 " 7 Artists sellection " Papp Galley chealsea NewYork
2001 " Sindoricoh invitational " Sindoricoh Gallery Seoul
2001 " 21C Korea contemporary art" Sejong Museum of art Seoul
2000 " New millenium " Duckwon Gallery Seoul
2000 " Crosscurrunts " Korean Consulate General Gallery Tokyo Japan
1998~1999 " Korea Computer Graphics " Seoul E-Wha University Museum of Art
1998~1999 " Korea computer art Asosociation " KIDP Center Seoul
1999 " Riverwalk Arts Festival " City of New York U.S.A
1998 " multimedias shows " Coex Seoul
1997 " International sellection " GNG Gallery paris
1996 " Ventures " Seoul National Contemporary Museum of Art
1995 " Memorial Exhibition for Oh, Jiho " Kwangju City Museum of Art
1995 "95 Korea Contemporary Art in China" National Museum of Art PeiJing
1995 " 95 Impact international art Festival" Kyoto Museum of Art Japan
1995 " Korea art in Moscow" The Central Artist's house Moscow
1994 " Three Artists" New York gallery soho N.Y.C
1993 " Korea - China Crosscurunts" Yen Byan musium of University Yen Byan China
1993 " Contemporary Artists " Gelabert gallery soho N.Y.C
1992 " Multicultural Program "  Queens Museum of Art New York.
1992 " Soho Now 92 " Monteserrat Gallery (soho) New York.
1992 " M.F.A.show ". " Take home a nude " Academy Gallery , New York.
1992 " Crosscurrunts " Korean Consulate Genera lGallery Korea, New York, N.Y.
1992 " After opening the curtain " Artra gallery (soho) New York.
1991 " International Group Exhibition " New York Gallery N.Y.C​
1991 " Group show of contemporary artists " Gelabert Studios Gallery. New York
1990 " Recent works " Academy Gallery New York
Collections
Boom Kyn Cha, New York Korea Consulate general, Seoul National Contemporary museum of Art, Seoul Arts Center, KwangJu art museum,
ImOk Museum of Art, Basf Urethane Co.Ltd U.S.A, HYUNDAI MOTORS INDIA, New York Academy of Art, Long Island University New York, INFINITI MOTORS KOREA


------------------------------------------------------------------------------------------


_탈리아 브라코폴로스’ 박사뉴욕시립대학교 교수큐레이터의 평론
김일권의 풍경에 나타난 덧칠하기와 장엄함” 에서


예술에서의 장엄함을 로버트 로젠블룸은 낭만적 풍경에서 발견하는 무정형성, 경외감과 신비적 측면과 연결지었다. 김일권의 풍경은 어느 모로 보아도 신비적이고, 암시적이며, 다양한 가능성을 장엄하게 암시하는 점에서 황홀경에 빠지게 한다. 부드러운 음영의 그의 그림은 표현 방식이 간략함에도, 그 복합성을 글로 다 표현하기 어렵다. 이렇게 덧칠하기와 덧그리기 혹은 덧입히기는 덧칠하기 효과로 불리운다. 언어학적 모델을 빌려 말하면, 기호로서의 그의 풍경은 반복을 통해서 의미를 찾는 다층적 상징주의로 감싸여져 있고, 상징된 의미체는 불안정한 전환을 겪게되며, 의미하는 것과 자리를 바꾸어 나간다. 기호로서의 김일권의 그림은 반복을 통해서 그 지시 대상을 계속하여 재창조해내며, 그럼으로써 그 의미를 확장해 나간다. 그의 작품은 전경, 수평면/중간층, 배경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 비유적이고 추상적인 풍경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혹은, 그의 작품은 매개체가 중심자리를 차지한 감각과 채색의 연구라고 말할 수도 있다. 또는 경건하고,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특성 때문에 그의 풍경에서 정신적인 요소를 읽어낼 수도 있다. 보통 비평가들이 말해 왔듯이 김일권의 작품을 추상적 표현주의 혹은 미니멀리즘으로만 보는 것은 곤란하다. 그것은 비유적인, 상징적인 의미라는 관점에서도 감상되어야 한다. 김일권의 그림에서 가장 가슴에 다가오는 측면은 복합적으로 짜여진 은밀한 비유적인 의미와 시각적인 예리함이 보는 이를 사로잡고, 보는 이의 정서와 교감한다는 점이다.


_김일권의 고요한 세계양은희 (미술사 박사/뉴욕시립대평론에서

김일권은 카와라*처럼 일상과 작업을 분리하지 않는 작가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그의 회화에 그의 일상이 오롯이 녹아있다. 카와라처럼 그림의 제목에 그림을 그린 그날 날짜를 사용하는 것도 비슷하다. 간결한 수평선 하나가 캔버스 가운데를 가르는 그림으로 잘 알려진 김일권은 카와라처럼 비슷한 그림을 반복한다. 물론 색과 캔버스의 크기는 변하지만, 수평선 또는 수평적 구도로 화면을 가르는 추상 패턴을 반복한다. 그가 최근에 일관되게 그리는 수평적 색면은 사실 그가 사는 순천 앞바다 풍경을 캔버스로 담은 것이라고 한다. (중략)

바다와 땅이 융합되고, 하늘과 대지가 서로 혼동되면서 이제는 바다 풍경인지 아니면 마음의 풍경인지 구분하지 못할 정도이다. 세계의 추상 미술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잘 아는 그가 이미 보편적인 미술 언어로 인정된 추상을 향해 나아갔다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그가 뉴욕에서 거주하면서 알게 된 비평가들로버트 모간(Robert C. Morgan) 로즈메리 오닐, 탈리아 브라초플러스(Thalia Vrachopoulos)-은 한결같이 그의 작품에 보이는 자연의 보편적 미와 공간의 자연스러움에 대해 언급한다. 그리고 마크 로스코와 같은 정적인 그러면서도 초월적인 추상의 미를 추구했던 미국 작가와 비교하고 있다. 김일권의 작품에 로스코의 팔레트가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나는 그가 로스코만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니라고 본다. 1950년대 이후 한국에서 전개된 추상 전통을 그가 모를 리 없다. 덩어리들이 엉킨 역동적 추상작품에서, 선의 반복적 활동을 담은 미묘한 모노크롬 회화까지, 김일권보다 앞서서 추상을 다룬 작가들을 그가 모를 리 없다. 그는 동서양의 회화 전통을 공부한 사람이다. 초현실주의적인 생명체를 그리다가 이런 형체들을 추상화하면서 결국에는 부드러운 색면이 부유하는 추상을 통해 정신적인 주체를 표현했던 로스코의 추상과 외양은 비슷할지 몰라도 출발은 다르다. 김일권은 바다, , 하늘, 땅과 같은 넓은 우주를 차근차근 그려서 결국 정련된 추상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그는 형태만 정련한 것이 아니라, 붓의 움직임, 색채의 사용도 점점 절도있게 변해왔다.

김일권의 풍경은 단순한 수평 구도와 한두 가지 색을 이용한 모노크롬 색면의 결합을 통해 아직은 완전한 추상이 아니라, 푸른 바다와 척박한 대지가 서로를 포용하는 순천 앞바다 풍경이 정련되어 고즈넉하게 나타나는 것 같다. 남해안에 자주 부는 비바람의 흔적조차도 수평선이 무너지는 안개 속처럼 그려진다. 푸른색과 붉은색일 수도 있고, 녹두색과 갈색이 결합할 수도 있다. 수평적 구도에 가로로 뻗은 줄 하나, 둘이 화면을 가른다. 그리고 그 바다와 대지가 서로 녹아들어 가는 수평선은 그의 풍경에서 사실 가장 중요한 지점이다. 둘이었던 색이 하나가 되는 지점이자, 하나였던 색이 둘로 나뉘는 지점이기도 하다. 아마도 그의 풍경이 보여주는 드라마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는 수평선은 의도적으로 단순한 선 하나, 아니면 해안선과 같은 돌출된 부분이 느껴지는 선도 있다. 그 수평선이 갈등 관계를 극복한 듯이 소박하게 서로 어울리기도 한다. 이 선은 그의 그림이 완성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중략)

그는 그림을 완성한 날의 날짜를 그대로 제목에 사용했다. 하루, 그리고 또 하루, 그리고 또 하루. 그림 한 점을 완성하려면 족히 한 달을 보내는 그는 마지막 날에 그림 제목을 정한다. 그 작품이 만들어질 때까지 흘러간 시간은 모두 그 제목에 들어간 날짜로 응축된다. 손자에게 옛날이야기를 해주면서 선조가 쌓은 지혜를 전해주려던 할아버지 빌제법(Beelzebub), 바빌론에서 후대에게 지식을 전달하고자 애쓰던 지식인들, 날마다 자신이 그림을 그린 날의 날짜를 캔버스에 그리는 카와라, 김일권은 그들이 무슨 일을 해왔는지 알고 있으며 자신에게 부여된 그 역할을 거부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림을 그린다.


_로버트 모건 Robert C. Morgan* (뉴욕아트2005.5 김일권의 새로운 풍경화 )평론

*온 카와라(On Kawara,河原溫) 개념미술가, 1966년부터 작고할 때까지 매일 작가가 체류하고 있는 나라의 언어로 그날의 날짜를 단색 바탕에 그렸다

김일권의 작품을 보고, 그 의미를 파악하려면, 풍경화에 대한 통상적인 관념과 이해를 넘어서야 한다. 김일권의 풍경화는 추상화와 바로 연결이 되기 때문이다. 그의 풍경화는 구상과 추상 사이의 연결점이며, 지렛대이고, 저울의 균형대이며, 미래를 투시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고요한 땅"이라는 그의 연작은 일종의 예언적인 지진계이며, 의도적인 계산을 배제한 경고이며, 자신에 대한 사고와 감정을 보여주는 방법이다. 김일권은 풍경을 보는 행위가 내재적인 형이상학적 행위이며, 자연의 실재와 화해를 하는 길이며, 수평선의 무한을 느끼고, 자아의 고요, 고독, 공포와 탐욕으로 갈라진 세상 속에서 영적 존재의 무한한 장려함과 화해하는 길임을 이해하고 있다.

그의 그림은 과거와의 관련성 속에서 미래를 상상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동양 풍경화의 전통인 간명한 고요함, 모호함이 없는 의미, 담대한 이해력과 사유의 감정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인간적 정서의 우주를 발견할 수도 있고,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 때 우리의 감정을 지배하는 은하수의 분위기를 발견할 수도 있다. (중략)

그러나 이런 풍경화들이 이끄는 방향을 예견할 수는 없다. ‘고요한 땅 (01.05.03)’에서는 바다의 파도에 대한 예리한 감각이 밤을 관통하고 있다. 감상하는 사람은 바닷가의 그 어딘가에서 숭고하지만 엄청난 이 자연현상을 바라보게 된다. 수평선은 동요하고 있다. 단순하고, 난해하고 서예와 같은 붓놀림은 전형적이던 정적을 교란하고 있다. 우리는 바다의 앞에서 있다 -그런데 그 바다는 순수한 표상이 아니라, 자연 속의 어떤 보편적인 것을 암시한다. 그 결과, 회화에 있어서의 구상적인 요소와 추상적인 요소- 둘 다 자연에 속한다 -를 모두 끌어당겨 서로가 조화를 이루도록 만든다. 김일권은 감상자로 하여금 지각의 대상이 주는 느낌에 눈을 뜨게 한다. 객관적으로 변화하는 자연, 갑각류처럼 굳은 형식으로서의 자연, 우리를 자아로 귀향케 하고, 어둠이 빛으로 전환하며, 우리가 다시 전체가 되는 그런 영혼의 텅 빈 지대로 귀향케 하는 원초적인 사건으로서의 자연에 눈을 뜨게 한다.